반응형

알고리즘/백준 77

1766>문제집

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민오는 1번부터 N번까지 총 N개의 문제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려고 한다. 문제는 난이도 순서로 출제되어 있다. 즉 1번 문제가 가장 쉬운 문제이고 N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부터 풀까 고민하면서 문제를 훑어보던 민오는, 몇몇 문제들 사이에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1번 문제를 풀고 나면 4번 문제가 쉽게 풀린다거나 하는 식이다. 민오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문제를 풀 순서를 정하기로 하였다.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예..

알고리즘/백준 2019.03.12

1654>랜선 자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654 문제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 은 버려야 한다.(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

알고리즘/백준 2019.02.18

1010>다리놓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010 조합동적계획법 문제재원이는 한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이 도시에는 도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큰 강이 흐르고 있다. 하지만 재원이는 다리가 없어서 시민들이 강을 건너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고 다리를 짓기로 결심하였다. 강 주변에서 다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을 사이트라고 한다. 재원이는 강 주변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강의 서쪽에는 N개의 사이트가 있고 동쪽에는 M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N ≤ M) 재원이는 서쪽의 사이트와 동쪽의 사이트를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한 사이트에는 최대 한 개의 다리만 연결될 수 있다.) 재원이는 다리를 최대한 많이 지으려고 하기 때문에 서쪽의 사이트 개수만큼 (N개) 다리를 지..

알고리즘/백준 2018.12.17

11657>타임머신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7 밸만 포드 알고리즘 https://ko.wikipedia.org/wiki/%EB%B2%A8%EB%A8%BC-%ED%8F%AC%EB%93%9C_%EC%95%8C%EA%B3%A0%EB%A6%AC%EC%A6%98 문제N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버스가 M개 있다. 각 버스는 A, B, C로 나타낼 수 있는데, A는 시작도시, B는 도착도시, C는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시간 C가 양수가 아닌 경우가 있다. C = 0인 경우는 순간 이동을 하는 경우, C < 0인 경우는 타임머신으로 시간을 되돌아가는 경우이다. 1번 도시에서 출발해서 나머지 도시로 가는 가장 빠른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

알고리즘/백준 2018.12.04

1786>찾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786 KMP 알고리즘 문제워드프로세서 등을 사용하는 도중에 찾기 기능을 이용해 본 일이 있을 것이다. 이 기능을 여러분이 실제로 구현해 보도록 하자. 두 개의 문자열 P와 T에 대해, 문자열 P가 문자열 T 중간에 몇 번, 어느 위치에서 나타나는지 알아내는 문제를 '문자열 매칭'이라고 한다. 워드프로세서의 찾기 기능은 이 문자열 매칭 문제를 풀어주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P는 패턴이라고 부르고 T는 텍스트라고 부른다. 편의상 T의 길이를 n, P의 길이를 m이라고 하자. 일반적으로, n>=m이라고 가정해도 무리가 없다. n>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std::ios::sync_with_std..

알고리즘/백준 2018.11.26

11062>카드 게임

https://www.acmicpc.net/problem/11062 동적계획법 문제근우와 명우는 재미있는 카드 게임을 하고 있다. N개의 카드가 일렬로 놓여 있다. 각 카드에는 점수가 적혀있다. 근우부터 시작하여 번갈아가면서 턴이 진행되는데 한 턴에는 가장 왼쪽에 있는 카드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카드를 가져갈 수 있다. 카드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턴은 반복된다. 게임의 점수는 자신이 가져간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이다. 근우와 명우는 서로 자신의 점수를 가장 높이기 위해 최선의 전략으로 게임에 임한다. 놓여있는 카드의 개수 N과 카드가 놓여있는 상태가 주어졌을 때 근우가 얻는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카드가 [4, 3, 1, 2]로 놓여있다고 하자. 근우는 처음에 4가 적힌..

알고리즘/백준 2018.11.19

2448>별 찍기 - 11

https://www.acmicpc.net/problem/2448 문제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항상 3×2k 수이다. (3, 6, 12, 24, 48, ...) (k ≤ 10) code >> #includechar stars[3072][6144];void Star(const int& x , const int& y, const int& N){if (N == 3){stars[y][x] = '*';stars[y + 1][x - 1] = '*';stars[y + 1][x + 1] = '*';stars[y + 2][x - 2] = '*';stars[y + 2][x - 1] = '*';stars[y + 2][x] = '*';stars[y + 2][x +..

알고리즘/백준 2018.11.12

4367>셀프 넘버

https://www.acmicpc.net/problem/4673 문제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

알고리즘/백준 2018.10.21

1931>회의실배정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들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의 회의를 찾아라.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

알고리즘/백준 2018.1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