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국어 설정은 Localization 해당 패키지를 이용한다.
Localization 1.3.2 버전은 버그가 있기 때문에 1.4.3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야한다.

Localization Tables를 클릭한다.


Localization이란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에 Localization Settings.asset을 저장한다.
그러면 아래의 화면이 뜨고 Locale Generator를 클릭합니다.
저는 한국어와 영어를 선택했습니다. 필요시에 추가적으로 언어를 선택합니다. Generate Locales 클릭합니다.

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적당한 폴더를 설정해줍니다.


Add New Entry를 클릭하고 key에는 app_name을 입력
영어와 한글에 맞게 앱 이름을 설정합니다.

유니티 인스펙터에서 Localization 경로에 세팅한 Localization Settings 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그림에 맞춰 +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Android Appinfo를 클릭합니다.
![]() |
![]() |
Display Name을 클릭하면 등록한 app_name이 보입니다.
![]() |
![]() |
반응형
'개발관련 >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xcode upload contain disallowed file 'Frameworks' (0) | 2023.11.09 |
---|---|
해상도 고정 (0) | 2023.09.02 |
TextMeshPro 폰트 생성 (0) | 2023.07.31 |
클리커 게임 단위 구하기 (0) | 2023.03.15 |
Addressables 동기 사용법 및 주의점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