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84

11657>타임머신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7 밸만 포드 알고리즘 https://ko.wikipedia.org/wiki/%EB%B2%A8%EB%A8%BC-%ED%8F%AC%EB%93%9C_%EC%95%8C%EA%B3%A0%EB%A6%AC%EC%A6%98 문제N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버스가 M개 있다. 각 버스는 A, B, C로 나타낼 수 있는데, A는 시작도시, B는 도착도시, C는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시간 C가 양수가 아닌 경우가 있다. C = 0인 경우는 순간 이동을 하는 경우, C < 0인 경우는 타임머신으로 시간을 되돌아가는 경우이다. 1번 도시에서 출발해서 나머지 도시로 가는 가장 빠른 시간을 구하는 프로그..

알고리즘/백준 2018.12.04

1786>찾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786 KMP 알고리즘 문제워드프로세서 등을 사용하는 도중에 찾기 기능을 이용해 본 일이 있을 것이다. 이 기능을 여러분이 실제로 구현해 보도록 하자. 두 개의 문자열 P와 T에 대해, 문자열 P가 문자열 T 중간에 몇 번, 어느 위치에서 나타나는지 알아내는 문제를 '문자열 매칭'이라고 한다. 워드프로세서의 찾기 기능은 이 문자열 매칭 문제를 풀어주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P는 패턴이라고 부르고 T는 텍스트라고 부른다. 편의상 T의 길이를 n, P의 길이를 m이라고 하자. 일반적으로, n>=m이라고 가정해도 무리가 없다. n>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std::ios::sync_with_std..

알고리즘/백준 2018.11.26

11062>카드 게임

https://www.acmicpc.net/problem/11062 동적계획법 문제근우와 명우는 재미있는 카드 게임을 하고 있다. N개의 카드가 일렬로 놓여 있다. 각 카드에는 점수가 적혀있다. 근우부터 시작하여 번갈아가면서 턴이 진행되는데 한 턴에는 가장 왼쪽에 있는 카드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카드를 가져갈 수 있다. 카드가 더 이상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턴은 반복된다. 게임의 점수는 자신이 가져간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이다. 근우와 명우는 서로 자신의 점수를 가장 높이기 위해 최선의 전략으로 게임에 임한다. 놓여있는 카드의 개수 N과 카드가 놓여있는 상태가 주어졌을 때 근우가 얻는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카드가 [4, 3, 1, 2]로 놓여있다고 하자. 근우는 처음에 4가 적힌..

알고리즘/백준 2018.11.19

2448>별 찍기 - 11

https://www.acmicpc.net/problem/2448 문제예제를 보고 규칙을 유추한 뒤에 별을 찍어 보세요. 입력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항상 3×2k 수이다. (3, 6, 12, 24, 48, ...) (k ≤ 10) code >> #includechar stars[3072][6144];void Star(const int& x , const int& y, const int& N){if (N == 3){stars[y][x] = '*';stars[y + 1][x - 1] = '*';stars[y + 1][x + 1] = '*';stars[y + 2][x - 2] = '*';stars[y + 2][x - 1] = '*';stars[y + 2][x] = '*';stars[y + 2][x +..

알고리즘/백준 2018.11.12

4367>셀프 넘버

https://www.acmicpc.net/problem/4673 문제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과 같은 무한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33으로 시작한다면 다음 수는 33 + 3 + 3 = 39이고, 그 다음 수는 39 + 3 + 9 = 51, 다음 수는 51 + 5 + 1 = 57이다. 이런식으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만들 수 있다. 33, 39, 51, 57, 69, 84, 96, 111, 114, 1..

알고리즘/백준 2018.10.21

1931>회의실배정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들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의 회의를 찾아라.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

알고리즘/백준 2018.10.20

3665>최종순위

https://www.acmicpc.net/problem/3665 위상정렬 문제올해 ACM-ICPC 대전 인터넷 예선에는 총 n개의 팀이 참가했다. 팀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놀랍게도 올해 참가하는 팀은 작년에 참가했던 팀과 동일하다. 올해는 인터넷 예선 본부에서는 최종 순위를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에 작년에 비해서 상대적인 순위가 바뀐 팀의 목록만 발표하려고 한다. (작년에는 순위를 발표했다) 예를 들어, 작년에 팀 13이 팀 6의 보다 순위가 높았는데, 올해 팀 6이 팀 13보다 순위가 높다면, (6, 13)을 발표할 것이다. 창영이는 이 정보만을 가지고 올해 최종 순위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작년 순위와 상대적인 순위가 바뀐 모든 팀의 목록이 주어졌을 때, 올해 순위를 만드..

알고리즘/백준 2018.10.20

2252>줄 세우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위상정렬 문제N명의 학생들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우려고 한다. 각 학생의 키를 직접 재서 정렬하면 간단하겠지만,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 두 학생의 키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나마도 모든 학생들을 다 비교해 본 것이 아니고, 일부 학생들의 키만을 비교해 보았다. 일부 학생들의 키를 비교한 결과가 주어졌을 때, 줄을 세우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첫째 줄에 N(1≤N≤32,000), M(1≤M≤100,000)이 주어진다. M은 키를 비교한 회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이다. 학생들의 번호는 1번부터 N번이다. code>> #i..

알고리즘/백준 2018.10.15

9095>1,2,3 더하기

https://www.acmicpc.net/problem/9095 문제정수 4를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은 총 7가지가 있다. 합을 나타낼 때는 수를 1개 이상 사용해야 한다. 1+1+1+11+1+21+2+12+1+12+21+33+1정수 n이 주어졌을 때, n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양수이며 11보다 작다. code>> #include int Solv(const int& sum, const int& index, const int& max){if (sum == max)return true;if (index > max |..

알고리즘/백준 2018.10.15

10216>CountCircleGroups

https://www.acmicpc.net/problem/10216 문제백준이는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떠났다. 혹독한 훈련을 무사히 마치고 나서, 정말 잘 생겼고 코딩도 잘하는 백준은 그 특기를 살려 적군의 진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2차원 평면 위의 N곳에 적군의 진영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적군의 진영들은 마다마다 하나의 통신탑을 설치해, i번째 적군의 통신탑은 설치 위치로부터 Ri 이내 거리에 포함되는 모든 지역을 자신의 통신영역 Ai로 가지게 된다. 만약 임의의 통신영역 Ai와 Aj가 닿거나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진영 i와 진영 j는 직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물론 직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지역 i와 j가 중간에 몇 개의 직접통신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

알고리즘/백준 2018.10.12
반응형